본문 바로가기

웹 개발

(6)
Kedical Home Page Start At : April 24, 2025End At : April 29, 2025 프로젝트 개요친구에게 전달 받은 외주 프로젝트. 보기에는 간단한 웹 페이지이지만 마감기한이 1주일 남은 상황에 급하게 투입되었음. April 24, 2025작업 내용 프로젝트 초기 셋팅Header, Footer, Button 컴포넌트 생성메인 > Section 1 UI 작업진행 사항 특이 사항Header, Footer, Button 컴포넌트 간략하게 UI만 잡은 상황. 차후에 기능 및 UI 추가 개발 해야함Section 1 반응형 고려 안되어 있음. 마감기한이 촉박하여 우선 개발 이후 반응형 추가할 예정.다만, 개발시에 반응형은 어느정도 고려하고 작업해야 이후 큰 공사를 줄일 수 있을 것 같음. April 25, 2..
Re: Zero부터 시작하는 개발 공부 대학교 4학년 1학기부터 제대로된 준비 없이 회사에 입사하여 어찌어찌 2년간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다양한 프로젝트를 개발을 해왔지만 매 순간 막막함, 답답함 그리고 불안함이 느껴졌다.프로젝트 시작 전에는 어떻게 개발 해야할지 감도 잡히지 않아 막막함이 느껴졌고,프로젝트 도중에는 지금 내가 무엇을 개발 하고 있고 이렇게 개발하는게 맞는지 모르겠어서 눈을 감고 길을 걷는 것처럼 답답함이 느껴졌고,프로젝트가 완료되었을 때는 일단 동작은 하지만 마구잡이로 높이 쌓여져 금방이라도 무너질것 처럼 흔들거리는 접시 탑을 보는 것 같은 불안함이 느껴졌다. 이 느낌들에 대해서 주변 사람들에게 조언을 구해보고 인터넷에 나와 비슷한 경험이 있는지 찾아보았으나 대부분 원래 개발이 그런 것이고 시간이 지나고 경험이 쌓이면 괜찮아진..
01. Front-End 개발에 대한 전반적이고 기본적인 이해 https://frontendmasters.com/guides/front-end-handbook/2024/ The Front End Developer/Engineer Handbook 2024The handbook provides an in-depth overview of the skills, tools, and technologies necessary to excel as a front-end developer / engineer.frontendmasters.com:443 이 포스트는 위 링크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읽고 개인적으로 정리하고 싶은 내용들을 추려내어 정리한 글입니다.위 페이지에서는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알아야 할 전반적인 지식을 정리하였습니다. 프런트엔드 개발자를 희망하거나 프런트엔드 개발자로서..
모나 홈페이지 일지 ( 2024-09-19 ~ ... ) 이 프로젝트에는 사연이 있다. 2024-10-08다시 프로젝트 개발을 재개하였다. 오늘 개발한 파트는 메인 페이지의 Section2 부분이다. 대략 5시간정도 소요되었는데 디자인은 정말 간단하지만 반응형이 들어가면서 시간이 배로 걸린것 같다. 특히나 각 포인트 별로 디자인이 깔끔하게 떨어지지 않게 나와서 시간이 더 걸린것 같다.  ( 특정 화면 크기에 해당하는 디자인이 없는 경우도 있어서 내가 직접 고민하여 임의로 작업을 했어야 했다. )반응형 작업은 디자이너의 역량과 개발자의 역량 모두 중요한것 같다. 내가 더 숙련된 개발자라면 어떤 형태의 디자인이라도 빠르고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지 않을까 란 생각도 든다.어떻게 하면 반응형 작업을 효율적으로 빠르게 작업할 지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프로젝트에서 새..
WIP) 리스코프 치환 원칙 리스코프 치환 원칙에 대해서 개념이 모호하다. 조사한 이후에 정확하게 이해한 바탕으로 포스트에 설명을 하자.
WIP) 타입의 공변성과 반공변성 📘 타입스크립트 공변성 & 반공변성 완벽 이해 (tistory.com) 📘 타입스크립트 공변성 & 반공변성 완벽 이해타입의 공변성과 반공변성 타입스크립트는 자바스크립트에 타입을 추가해준 라이브러리 이지만, 타입을 다루는 언어이기도 하다. 그래서 어느새 타입 자체를 코딩하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기도inpa.tistory.comHow I stumbled upon it아마 정보처리 기사 공부 중에 객체지향의 SOLID 개념을 보던 중 이었을 것이다. 그 중 리스코프 치환 원칙(상위타입의 객체를 하위타입의 객체로 교체(치환)할 수 있어야 한다는 원칙)을 보고 있었는데 해당 개념에 대한 이해와 이를 실제 코딩을 할 때 적용하고 싶어서 여러가지 예시를 만들어보면서 놀고 있었다.type SuperType = str..